라벨이 DNS인 게시물 표시

도메인에 자신이 만든 네임서버를 연결시킬 때 네임서버등록과 호스트등록이 둘 다 필요한 이유

이미지
나는 taeguk.me 라는 도메인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도메인에 내가 만든 네임서버를 등록하려는데 자꾸 호스트가 등록되지 않았다는 메시지가 뜨면서 실패하였다. 알고보니 도메인업체 사이트에서 호스트등록 메뉴에서 네임서버를 등록해야했다. 결국 ns.taeguk.me를 호스트등록함으로서 문제를 해결했다. 근데 왜 네임서버 등록은 왜 아이피주소가 아닌 ns.taeguk.me 와 같은 식으로 해야하고, 굳히 호스트 등록을 해야하는지 의문이 들었다. 이에 대한 해답은 nameserver 설정파일을 통해 답을 내릴 수 있었다.   위를 보면 .(루트)의 서브도메인에 대한 NS를 A,ROOT-SERVERS.NET. 과 같은 식으로 지정해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 그리고  A,ROOT-SERVERS.NET. 의 Address를 198.41.0.4와 같은 식으로 지정하고 있다. 이때 NS를 지정하는 것은 도메인업체 사이트에서 "네임서버 설정" 에 해당하는 부분이고, NS에 대한 ip address를 A레코드를 이용해 지정하는 것은 도메인업체 사이트에서 "호스트 등록"에 해당하는 부분이다. 즉 taeguk.me. 도메인에 대해서 네임서버를 ns.taeguk.me.로 설정한다면 taeguk.me. IN NS ns.taeguk.me. 라는 세팅이 me. 도메인의 네임서버에 추가될 것이다. (아마?) 그리고 ns.taeguk.me. 에 대해 호스트등록을 한다면 ns.taeguk.me. IN A 123.123.123.123 라는 세팅이 me. 도메인의 네임서버에 추가될 것이다. (아마?) 그러면 왜 네임서버 등록에서 아이피주소로 등록할 수 없는 지에 대한 해답이 나온다. ip address는 A레코드에서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. 따라서 무조건 글루레코드를 이용해야만 하는 것이다. 그러면 만약 taeguk.me. 에 대한 네임서버가 ns...